[사이언스] 차세대 리튬이온전지용 3차원 음극소재를 개발... 자이로이드 구조

기존 흑연 대비 5배 용량, 단순공정(one-pot)으로 합성해 전기자동차 응용 기대

특허뉴스 염현철 기자 | 기사입력 2019/08/28 [14:49]

[사이언스] 차세대 리튬이온전지용 3차원 음극소재를 개발... 자이로이드 구조

기존 흑연 대비 5배 용량, 단순공정(one-pot)으로 합성해 전기자동차 응용 기대

특허뉴스 염현철 기자 | 입력 : 2019/08/28 [14:49]

 

▲ 3차원 공간구조형 실리콘복합산화물 합성공정 모식도     © 특허뉴스

 

전기자동차 시장의 확대로 고성능 리튬이온전지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리튬이온전지용 음극소재로서 기존 흑연 대비 10배 이상의 이론용량을 갖는 실리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하지만 충·방전시 실리콘이 3배 이상 팽창하면서 구조가 붕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문제였다. 때문에 상용 음극소재인 흑연에 실리콘을 미량 섞어 용량을 다소 높이는 데 그쳤다.

 

한국연구재단은 경희대 박민식 교수, 중앙대 문장혁 교수, 호주 울런공대 김정호 교수 등 공동연구팀이 규칙적 패턴이 반복되는 다공성 삼차원 나노 구조체인 자이로이드 구조의 고용량·고출력 차세대 리튬이온전지용 3차원 음극소재를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연구팀은 실리콘 팽창에 따른 재료 내부의 저항력(응력)을 최소화하도록 다공성 자이로이드 구조의 실리콘복합산화물 음극소재를 설계하고 단일공정(one-pot)을 통해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한 결과, 다공성 기공이 응력을 줄이고 3차원 자이로이드 구조를 통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아낸 데 따른 것이다.

 

▲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다양한 3차원 실리콘 구조체의 부피팽창 시뮬레이션_각 모델 아래의 숫자는 리튬이온의 삽입량을 퍼센트 농도로 표현한 것이며, 적색으로 변할수록 각 국소지점의 위치변화(부피팽창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 한다. 입자 단위의 실리콘(위)은 리튬이온 삽입시(전지 충전시) 부피가 300% 가량 변하지만 본 연구에서 설계된 3차원 공간구조형 실리콘복합산화물(아래)은 기존 부피를 그대로 유지하는 모습을 보인다     © 특허뉴스

▲ 실리콘 입자 내부 결정학적 결함 유무에 따른 영향 확인     © 특허뉴스



이렇게 개발된 소재는 실제 충·방전 시 규칙적으로 배열된 직경 10나노미터 크기의 기공들이 실리콘의 부피팽창을 효과적으로 완충함으로써 기존 흑연 대비 5배 이상의 가역용량을 달성, 100회 이상의 충·방전에도 초기 효율의 80%를 유지하는 장수명을 구현해 냈다.

 

한편, 복합소재 내부의 산소만을 선택적으로 환원하여 내부에 기공을 형성함으로써 기공을 통한 리튬 이온의 확산을 도왔다. 또한 반복적인 리튬 이온 유출입 시에도 기계적 강도 손실 없이 출력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었다는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재우 연구원은 시뮬레이션 해석과 실제 실험적 관찰이 통합된 융합연구인 것에 큰 의의가 있다향후 실리콘 기반 음극소재 융합연구는 리튬이온전지가 핵심부품으로 사용되는 전기자동차 산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의 성과는 재료분야 국제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85일 게재되었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리튬이온전지,음극,자이로이드,흑연,전기자동차,실리콘,한국연구재단,다공성,복합소재,가역용량 관련기사목록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