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KAIST, 빛에 담긴 비대칭성을 증폭하는 카이랄 초분자 형성 원리 규명

특허뉴스 선우정 기자 | 기사입력 2022/02/16 [16:00]

[사이언스] KAIST, 빛에 담긴 비대칭성을 증폭하는 카이랄 초분자 형성 원리 규명

특허뉴스 선우정 기자 | 입력 : 2022/02/16 [16:00]

 

▲ 빛을 받아 자기조립하는 분자가 비편광 자외선 하에서 자기조립하는 경우 양쪽 나선 방향의 핵이 같은 비율로 생기지만, 좌-원편광을 쬐면 라디칼 양이온을 형성하는 광화학 반응에서 대칭이 무너져 왼쪽 나선 방향의 핵이 우세하게 형성되면서 자기조립체에서 초분자 카이랄성이 발현되는 메커니즘(그림제공=KAIST)  © 특허뉴스

 

 

국내 연구진이 회전하면서 나아가는 빛인 원편광에서 기원한 카이랄(비대칭성) 정보가 분자들을 나선으로 쌓이도록 유도하는 메커니즘을 제안하며,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카이랄 광학 소재, 의약품 합성에 활용되는 비대칭 촉매 등에 응용이 기대되고 있다.

 

KAIST는 화학과 서명은 교수를 주축으로 한 연구팀이 분자 자기조립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통해 빛으로부터 초분자 나선 방향이 결정되는 원리를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초분자(supermolecule)는 분자 간 결합 또는 인력을 통해 둘 또는 그 이상의 작은 분자들이 모여 생성된 거대한 분자들의 집합으로, 효소 등 기능성 생체 분자들도 초분자로 볼 수 있다.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 분자는 오른손과 왼손처럼 모양은 같지만 서로 겹칠 수 없는 거울상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지구상에서 탄생한 생명은 한 종류의 거울상 아미노산만을 선택해 단일한 카이랄성을 띠게끔 진화했다. 참고로, 카이랄(Chiral)은 수학, 화학, 물리학, 생물학 등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비대칭성을 가리키는 용어중 하나로, 이는 어떤 대상의 모양이 거울에 비춘 모양, 예를 들어 오른손 & 왼손 등과 같이 일치되지 않을 때 카이랄 성이 존재한다고 일컫는다.

 

아미노산에 담긴 카이랄 정보가 단백질로 전달되면 한쪽으로 꼬인 나선과 같이 분자를 넘어선 초분자 수준에서 증폭돼 나타나며, 이는 단일 카이랄성이 만들어지는 데 중요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 어떻게 카이랄성이 탄생하고 증폭됐는지는 자연이 단일 카이랄성을 지니게 된 이유와 연관 지을 수 있어, 생명의 기원과 깊게 관련된 문제다.

 

태초에 같은 양씩 존재했을 거울상 분자 한 쌍 중에 한쪽의 비율이 높아질 수 있는 원인으로 시계 방향 혹은 반대로 회전하면서 나아가는 빛인 원편광이 흔히 거론되는데, 거울상 분자가 원편광을 흡수하는 정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자연적으로 지구에 내리쬐는 원편광은 그 회전 방향이 무작위할 것이므로 분자와 원편광에 담긴 카이랄 정보가 서로 경쟁하는 가운데 어느 순간 한쪽 거울상이 과잉되면서 단일한 카이랄성이 출현했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으나, 분자와 원편광으로부터 카이랄 정보가 동시에 전달될 때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는 거의 연구된 바 없었다.

 

KAIST 서명은 교수 연구팀은 빛에 반응해 자기조립되는 프로펠러 모양의 분자를 찾고, 분자와 빛에 담긴 카이랄 정보가 전달돼 초분자 나선으로 나타날 때 각각 얼마나 효과적인지 연구했다. 먼저 원편광의 회전 방향과 분자 프로펠러 방향이 맞을 때 광화학 반응이 우세하게 일어나고, 이는 자기조립을 유도해 정해진 나선 방향으로 성장함을 밝혔다.

 

나아가 한쪽 거울상 분자가 과잉된 조건에서 원편광을 쬐어 나선 방향이 어느 쪽을 따라가는지 살핀 결과, 양자의 정보가 일치할 때 초분자 카이랄성이 증폭되고 반대일 때 상쇄되며, 심지어 빛으로 분자 카이랄 정보를 눌러 나선 방향을 반전할 수 있음을 정량적으로 보였다. 또한 일정 비율 이상의 거울상 분자가 축적되면 빛과 관계없이 단일한 나선 방향이 유지되는 것 역시 확인했다.

 

원편광을 선택적으로 걸러내는 소재는 현재 OLED, 3D 안경 등 디스플레이에 널리 쓰이고 있고, 원편광을 내는 재료 등은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소재로 떠오르고 있다. 초분자 나선 구조는 개개의 분자에 비해 원편광을 훨씬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초분자 나선 구조를 한번 더 조립하여 분자-초분자-거시적 스케일에서 모두 카이랄성을 띠는 멀티스케일 카이랄 구조체를 구현한다면 카이랄성을 극도로 증폭할 수 있는 소재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약물로 쓰이는 화합물은 탈리도마이드처럼 반대 거울상 분자가 기형을 유발하는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만큼, 한쪽 카이랄성만을 가지게끔 합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멀티스케일 카이랄 구조체는 이러한 비대칭 합성에서도 강력한 카이랄 환경을 제공하여 입체 선택성이 높은 촉매를 제조하거나, 거울상 분자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만드는 플랫폼이 될 수 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빛에 담긴 비대칭성이 어떻게 분자 및 초분자 수준으로 전달되고 증폭될 수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분자에 담긴 정보와 별개로 초분자 카이랄성을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이번 연구를 발판으로 카이랄 광학 소재, 비대칭 촉매 등 미래 먹거리가 될 수 있는 멀티스케일 카이랄 신소재 개발로 연구를 확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KAIST 화학과 강준수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이 제1 저자로 연구를 주도하고, 화학과 김우연 교수, 임미희 교수, 윤동기 교수 연구팀이 협업한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24일 자로 온라인 게재됐다.

 

논문명은 Circularly Polarized Light Can Override and Amplify Asymmetry in Supramolecular Helices 이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카이랄,초분자,비대칭성,분자자가조립시스템,초분자나선방향 관련기사목록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