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 바이러스 특허, 국내 중소기업이 주도

이성용 기자 | 기사입력 2005/09/03 [12:09]

안티 바이러스 특허, 국내 중소기업이 주도

이성용 기자 | 입력 : 2005/09/03 [12:09]
src=/storage/editor/8[2].jpg
안티 바이러스 특허, 국내 중소기업이 주도

컴퓨터 바이러스 및 해킹툴을 포함한 악성코드 치료방법에 관한 특허가 해마다 30여건씩 출원되고 있는 가운데 이들 대부분이 국내 중소기업이 출원한 것으로 드러났다.

악성코드(malware)란 컴퓨터 바이러스, 웜, 트로이안, 스파이웨어, 애드웨어, 백도어를 지칭하는 해킹툴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컴퓨터에 침투시 기능이 마비되거나 정보가 유출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초래한다.

악성코드 진단과 치료방법에 관한 특허는 1985년에 최초로 출원되었으며 1995년 이후부터 활발해져 현재까지 총 216건이 출원됐다. 이중 국내출원은 안철수연구소, 하우리 등 보안솔루션을 개발하는 중소기업들의 출원이 전체건의 80%(174건)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개인발명 8%(17건), 삼성, LG, KT 등 대기업 4%(9건), 연구소 3%(6건) 순으로 나타났으며, 국외출원은 4%(8건)에 불과했다.

특히, 세계 안티 바이러스 시장의 70%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시만텍, 맥아피, 트랜드 마이크로와 같은 유명한 외국기업들이 국내에는 단 한건도 출원하지 않았다. 최근에 트랜드 마이크로사가 자사의 서버기반 안티바이러스 특허권을 주장하며 미국, 일본, 유럽시장을 겨냥해 공격적인 특허소송으로 관련업계 기업들을 위협하고 있으나 한국은 그 사정권을 벗어나 있다.

이 분야에서 외국기업과 국내 대기업의 출원이 저조한 원인은 국내 시장규모가 그리 크지 않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지만 수준 높은 기술력을 보유한 국내 중소기업들이 발빠르게 출원한 선행기술로 인해 출원을 하더라도 등록받기가 쉽지 않은 까닭도 있다. 2000년 이후 지금까지 국내 중소기업이 42건을 등록받은데 비해 국내 대기업과 국외기업은 통틀어 각각 1건씩 등록 받았을 뿐이다.

현재 국내에는 악성코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치료하는 10여종의 중소기업 소프트웨어가 보급되어 있으며 대략 800억원대의 시장규모를 형성하고 있다. 매시간 마다 새로운 악성코드가 기하급수적으로 발생하고 악성코드로 인한 피해사례가 속출하고 있는 실정에서 시장규모는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아울러 관련 기업들의 특허에 관한 관심도 한층 더 높아질 전망이다.



<박스처리>

안티 바이러스 관련 주요특허

o 10-1995-0017744호

- 출원인 : 안철수

- 발명의 명칭 : 컴퓨터 바이러스의 진단 및 치료방법

- 요약 : 파일이 처음에 실행되는 시작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길이의 문자열을 파일 바이러스의 특징 문자열과 비교하여 감염여부를 진단하는 컴퓨터 바이러스의 진단 및 치료방법

o 10-1998-0017747호

- 출원인 : (주)앨트웰아이앤씨

- 발명의 명칭 : 유효 컴퓨터 바이러스를 이용한 컴퓨터 자료 보안 방법

- 요약 : 네트워크상의 컴퓨터 바이러스를 감시하기 위한 검색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출을 감시해야 할 기밀파일에 의도적으로 유효 컴퓨터 바이러스(ECV)를 삽입시켜 놓고 모든 입출력 시스템을 통해 감시해야 할 기밀 자료의 유출 여부를 감시하여 내부인에 의한 기밀자료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유효 컴퓨터 바이러스를 이용한 컴퓨터 자료 보안 시스템

o 10-2000-0014332호

- 출원인 : (주)하우리

- 발명의 명칭 : 다형성 바이러스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 요약 : 바이러스 진단 모의 프로그램 실행 중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소정의 규칙을 이용하여 하드디스크 또는 플로피디스크에 저장된 파일을 감염시킨 바이러스가 다형성 바이러스임을 진단하는 다형성 바이러스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o 10-2001-0007010호

- 출원인 : (주)안철수 연구소

- 발명의 명칭 : 인터넷을 통해 바이러스를 검사하는 방법

- 요약 :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기존 설치된 백신 엔진의 버전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새로운 바이러스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시키고, 최신 버전의 엔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을 통해 바이러스를 검사하는 방법

o 10-2001-0052289호

- 출원인 : (주)테커스

- 발명의 명칭 : 엑티브엑스 기반의 키보드 해킹 방지 방법 및 장치

- 요약 : 추가적인 H/W를 사용하지 않고 스파이 웨어 등에 의해 키보드 데이터가 네트워크 상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키보드 해킹 방지 프로그램에 관한 발명

o 10-2002-0006645호

- 출원인 : (주)세이프아이

- 발명의 명칭 : 실시간 안티 바이러스 시스템

- 요약 : 온라인상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에 포함된 바이러스를 클라이언트에서 감염되기 이전에 클라이언트에 구비된 바이러스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발견하고 즉시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o 10-2003-0016823호

- 출원인 : 조성제

- 발명의 명칭 : 바이러스에 의한 스팸메일을 방지하는 전자메일 발송방법

- 요약 : 송신자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컴퓨터 바이러스에 의해 무분별하게 전송되는 스팸메일의 전송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메일 발송방법

o 10-2003-0034141호

- 출원인 : (주)안철수연구소

- 발명의 명칭 : 무선단말기에서 실시간 바이러스 감시/진단/치료방법

- 요약 : 무선 단말기를 통해 유입 및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컨텐츠 등을 감시 및 진단하여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서 제작된 바이러스(악성코드 포함)가 무선 단말기에 유입 및 실행시에 자동으로 감지하고 진단 및 치료하는 실시간 바이러스 감시/진단/치료 방법

o 10-2003-0080583호

- 출원인 : (주)KT

- 발명의 명칭 : 네트워크 기반의 정보보안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요약 : 인터넷상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장비로부터 얻어진 바이러스 정보와 이를 치유하기 위한 백신 프로그램에 대한 패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상에서 가입자단말에 대해 필요시 패치를 강제적으로 수행하여 바이러스에 감염된 유해 트래픽으로 부터 통신망과 가입자단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보안 방법



<박스처리>

안티 바이러스 국산 소프트웨어



o V3

-바이러스 발견, 치료 프로그램

o 바이러스 체이서

- 바이러스 검색, 차단, 치료 툴

o 스파이 닥터

- 악성코드, 애드웨어, 스파이웨어 해킹코드, 팝업창 무료 진단 및 치료

o 닥터 바이러스

- 악성코드 무료 진단 닥터바이러스 바이러스 무료진단/치료 닥터바이러스

o 코드제로

- 악성코드, 애드웨어, 스파이웨어 치료, 시스템 최적화 프로그램

o 애드캐치

- 스파이웨어, 애드웨어 진단 및 치료 서비스

o 안티 스파이

- 악성코드 및 스파이웨어 검색, 제거 프로그램

o 스파이봇

- 스파이웨어 검색, 제거 프로그램

o 다간다 노애드

- 바이러스 치료, 악성 코드, 애드웨어 치료

o 애드큐어

- 바이러스백신프로그램, 바이러스치료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