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물’을 이용한 실리콘 태양전지 기술 개발...효율 ⇧ 가격 ⇩

UNIST 최경진 교수팀, 유기 박막 쓴 고효율 실리콘 태양전지 최초 구현

특허뉴스 이성용 기자 | 기사입력 2020/09/16 [15:43]

[사이언스] ‘물’을 이용한 실리콘 태양전지 기술 개발...효율 ⇧ 가격 ⇩

UNIST 최경진 교수팀, 유기 박막 쓴 고효율 실리콘 태양전지 최초 구현

특허뉴스 이성용 기자 | 입력 : 2020/09/16 [15:43]

▲ a. 유기물 (PEDOT:PSS)-실리콘-유기물(P(VDF-TrFE) 하이브리드 태양전지의 모식도. b. P(VDF-TrFE) 유기 박막의 유무에 따른 태양전지의 효율 그래프. 18.37%의 효율을 나타냄. c. 유한차분시간영역법을 통한 유기박막(VDF-TrFE)의 효과 규명.   © 특허뉴스

 

국내 연구진이 물을 이용해 실리콘 태양전지의 제조공정은 단순화하면서도 전지효율은 끌어 올리는 기술을 개발했다.

UNIST 신소재공학과 최경진 교수팀은 을 이용한 실리콘 태양전지 기술을 개발했다. 태양전지 후면에 위치하는 분리막’(전계층)에 물을 첨가해 성능은 개선하고 전지 제조공정은 단순화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로 전지의 무기물 구성층(후면 전계층)을 유기물로 대체한 실리콘 태양전지를 최초로 구현, 가격 경쟁이 치열한 실리콘 태양전지 분야에서 우위를 확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분리막은 태양전지의 효율을 좌우하는 중요한 전지 구성층으로 연구진은 유기물로 이뤄진 분리막에 물을 첨가하는 방식으로 성능은 높이고 고가의 전지 제조 공정은 줄였다.

 

교신저자인 최경진 교수는 유기 박막(강유전체)의 전기적 특성(전기장의 방향)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n·p형 실리콘 태양전지에 모두에 이 박막을 쓸 수 있다이번 연구로 유기 물질 박막의 고질적 문제인 온도·습도 불안정성도 해결해(1,000시간 구동가능) 상용화 가능성이 밝다고 기술에 대해 설명했다.

 

실리콘 태양전지 후면 분리막은 광()생성 전자와 정공간 재결합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태양광을 받은 광활성층(실리콘, 페로브스카이트 등)이 전자와 정공을 내놓는데 이 전자(음전하,-)와 정공(양전하,+)이 결합해 사라지는 것을 막는다. 전지가 생산하는 전력량은 전자와 정공 양이 결정하므로 전지 효율을 높이려면 이들의 재결합을 효과적으로 막는 분리막이 필요하다.

 

연구진은 이 분리막의 성능을 개선했다. 유기물(기름과 같은성질)로 구성된 분리막에 물이 첨가되면 내부 미세구조가 정렬되면서 분리막이 재결합을 막는 성능이 더 좋아진다. 이는 강유전체 분리막의 강유전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강유전성은 물질내부에 자발적 전기장을 만드는 성질이다. 이 자발적 전기장이 전자는 더 잘 잡아당기고, 정공은 더 잘 밀어내게 된다.

 

최교수 연구팀은 유기물 강유전체 박막에 미량의 물을 첨가해 분리막의 효율을 높였다. 기름처럼 물을 싫어하는 유기 박막에 물을 첨가하면 수 마이크론(μm, 10-6) 길이의 파이버 형상 유기물 입자가 조밀하고 규칙적인 구조로 정렬된다. 미세구조가 정렬됨에 따라 전자는 끌어당기고 정공은 밀어내는 힘이 더 커져 분리막의 성능이 좋아진다.

 

또 전지 제조 과정 중 분리막에 구멍을 뚫는 고가의 공정이 필요없다. 분리막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이라 구멍을 뚫어 전자와 정공의 통로를 만들어 줘야한다. 반면 새롭게 개발된 분리막은 첨가됐던 물을 증발시켜 제거함으로써 그 자리에 구멍을 쉽게 만들 수 있다.

 

1저자인 UNIST 신소재공학부 강성범 연구원은 유기 박막 내부 미세구조의 정렬현상(결정성 증가)을 발견하고, 이를 이용한 실리콘 태양전지 제조 방식을 고안했다고 설명했다.

 

최교수는 이번 연구로 무기물에 한정돼 있던 실리콘 태양전지 후면 전계층 기술을 유기물로 확장했다고가의 진공장비가 필요한 무기 박막 태양전지와 달리 유기 박막을 쓸 경우 공정이 간편해져 가격경쟁력을 갖춘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연구는 소재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인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913일자로 온라인 공개됐다.

 

논문명은 Ambipolar passivated back surface field layer for Silicon photovoltaics 이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실리콘태양전지,전지효율,UNIST,최경진교수,태양전지,분리막,유기박막,태양광 관련기사목록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