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 길이의 12배까지 잡아당겨도 찢어지지 않는 이온젤

신축성, 전기전도도, 내구성 모두 고려... 자유자재로 형태 바꿀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배터리 등 개발 가능

특허뉴스 이성용 기자 | 기사입력 2021/05/17 [12:14]

[사이언스] 길이의 12배까지 잡아당겨도 찢어지지 않는 이온젤

신축성, 전기전도도, 내구성 모두 고려... 자유자재로 형태 바꿀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배터리 등 개발 가능

특허뉴스 이성용 기자 | 입력 : 2021/05/17 [12:14]

 

 

한국연구재단은 부산대학교 윤진환, 진성호 교수 연구팀이 말거나 비틀어도, 원래 길이의 12배까지 잡아당겨도 작동하는 전계발광소자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전기장을 가해주면 밝은 빛을 내는 전계발광소자는 디스플레이, 조명 등에 폭넓게 활용된다. 최근에는 금속전극이 아닌 플라스틱 전극을 이용해 휘거나 구부릴 수 있도록 만든 소자들이 많이 소개되고 있다.

 

▲ 개발된 이온젤 전극을 포함하는 전계발광소자 / 소자를 작동시켜 발광시킨 상태에서 최대 1200%까지 잡아당겨도 작동이 가능함. 부드러우면서도 잘 찢어지지 않는 특성의 이온젤 전극을 개발하여, 원래 길이의 12배까지 잡아당겨도 전계발광소자가 잘 작동함. 그림설명 및 그림제공 : 부산대 윤진환 교수   © 특허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하이드로젤처럼 유연한 연성물질을 전극으로 이용해 자유자재로 변형시키거나 잡아당길 수 있는 유연한 소자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다.

 

흐르지 않는 고체상의 전해질로 물성조절이 비교적 쉬운 이온젤이 주목받지만 잘 찢어지고 전기전도도가 낮은 것이 단점이었다.

 

이에 부산대학교 연구팀은 탄탄한 구조의 젤 소재를 만든 후 전류를 잘 흐르게 하는 이온성 액체를 소재에 흡수시켜 유연성과 전기전도도를 모두 높인 이온젤을 만들었다.

 

핵심은 유연한 고분자 사슬과 질긴 고분자 사슬을 각각 그물구조로 만든 후, 이 둘을 서로 교차시킨 데 있다.

 

유연함과 기계적 강도(인장력, 인장성, 신축성)를 함께 높이고자 서로 성격이 다른 고분자를 접목한 것으로, 기존에는 주로 고분자 사슬 하나를 이용한 방식의 접근이었고 이같은 조성을 시도한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젤 소재는 마치 슬라임이나 고무줄처럼 유연 하면서도 잘 찢어지지 않도록 했다.

 

▲ 개발된 이온젤 전극을 포함하는 전계발광소자 / 접거나, 여러번 말거나 비틀어도 휘도를 유지하는 소자의 작동 사진. 부드러운 연성소재인 이온젤을 전극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변형에도 전계발광소자가 잘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그림설명 및 그림제공 : 부산대 윤진환 교수   © 특허뉴스

 

나아가 만들어진 젤 소재에 이온성 액체를 흡수시켜 투명하면서 전기가 잘 통하는 이온젤 전극을 만들었다.

실제 이렇게 만들어진 이온젤 전극은 빛을 내면서 자유롭게 형태를 바꾸거나 원래 길이의 12배까지 늘려도 작동할 수 있었다.

 

또 기존 이온전해질 보다 더 열에 안정적인 이온성 액체를 사용해 0도에서 200도의 넓은 온도구간에서도 소자가 잘 작동되었다.

 

잘 찢어지지 않는 이온젤 소재는 자유자재로 형태를 바꿀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지털 센서, 배터리 개발을 위한 소자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연구의 성과는 소재 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513(온라인) 게재되었다.

이 기사 좋아요
  • 도배방지 이미지

이온젤,전계발광소자,플라스틱전극,웨어러블디바이스 관련기사목록
광고